view-top

아몬드 브리즈가 칼로리가 낮은건 맞지만...
우리나라에선 매일에서 수입해서 요즘 아몬드브리즈를 유제품이나 GMO콩 두유보다 건강음료로 홍보하는걸 많이 보는데요 저도 예전에 아몬드브리즈 마시기 시작하면서 알게된건데 실제 아몬드브리즈에 아몬드액은 2%정도이고 나머지는 물과 유화제, 젤탄검 등 첨가물이라고 하더라구요 (구글검색하면 기사들 떠요)
아몬드액 함량은 표기하도록 권고 받았으나 그 회사에서 비공개로 하고 있다고 뭐 2%정도로 함량이 낮은건 괜찮다해도 저는 유화제, 젤탄검 등 들어있는게 과연 건강음료라 생각되지 않네요 미주지역에서는 유화제(카리기난, Carrageenan) 성분 논란으로 유화제 뺀 아몬드브리즈로 교체되었다고 하나 아직 그 외 나라들(한국 포함)에 수출용은 유화제가 첨가되어 생산된다고 하네요 전 아몬드브리즈 칼로리는 낮지만 굳이 유화제, 젤탄검, 등 첨가물 들어있는 음료를 건강음료인듯 선전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과연 아몬드브리즈 건강음료라 할수 있을까요?
국내에도 유화제 등 첨가물을 뺀 아몬드브리즈제품이 생산되기를 기대해봅니다
  • 슈가제로
  • 다짐을 등록 하세요!

이전 다음글

게시글 목록

댓글타이틀

댓글 (4)

최신순등록순공감순

※ 상대에 대한 비방이나 욕설 등의 댓글은 피해주세요! 따뜻한 격려와 응원의 글을 남겨주세요~
- 댓글에 대한 신고가 접수될 경우, 내용에 따라 즉시 삭제될 수 있습니다.

댓글리스트

다신
  • 뽀랴
  • 06.06 12:09
  • 그렇긴하죠ㅎㅎ 누구나 이왕이면 첨가물이 없는 식품을 드시고 싶으시겠죠ㅎ
    아! 그리구 지금보니까 제품에도 아몬드 2.2% 이상 함유라고 적혀있더라구요ㅎㅎ
    저 같은 경우에는 이왕이면 피하는 게 좋겠지만 먹는 행복을 위해서라면 조금은 사용해도 괜찮다는 편이에요
    우리나라는 좀.. 기업들의 횡포가 심하다는 느낌은 있지만 어쨋든 결국은 소비자들이 각자의 기준에 맞게 알아보시고 드셔야겠죠
    저는 슈가제로님의 글에서 아몬드 브리즈는 사기치는 제품이다 는 느낌이 강하게 들어서.. 댓글 달아보았어요
    첨가물에 대해 지적해주신건 좋지만 잘못된 부분은 짚어야하니까요ㅎㅎ
  • 답글쓰기
초보
  • 슈가제로
  • 06.06 11:06
  • 뽀랴 제가 삭품 첨가물들을 보는편이라 ..저지방 우유나 요거트 같은 경우 국내 브랜드들중 식품첨가물과 옥수수전분 야자유 같은걸 첨가 하여 고소한 맛과 농도를 맞추는 제품들이 상당히 많은데요 소비자들은 저지방이라는것만 생각하고 첨가물에 대한 인식없이 구매하는 경우가 많죠 저지방 먹는분들 건강을 생각해서 그럴텐데 굳이 첨가물까지 섭취하고 싶지는 않을거라 됩니다 전 기업들이 식품 첨가물없이 제품을 출시하는 노력을 좀 더 기울였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실제로 국내에 첨가물 없는 저지방우유, 요거트 들 있어요
  • 답글쓰기
초보
  • 슈가제로
  • 06.06 10:45
  • 뽀랴 아몬드함유량을 이제 명시한다니 잘 됐네요 1~2년전만해도 명확히 공개 안했었거든요 아몬드브리즈 미국 캐나다용은 그쪽 식약청 기준으로 얼마전 부터 Carrageenan 을 빼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선 그대로 사용한다는점이 아쉽다는거구요 개인적인 배경이 캐나다라 캐나다 오가며 아몬드브리즈르 몇년전부터 접하고 마시기도 하고 주위에서 보고 지금까지 느낀점을 종합해서 말씀드린거구요 화학첨가물의 인체에대한 영향 및 과학적인 근거에 대해선 여기서 논의할건 아닌거 같구요...국내 기준이 낮아서 그런건지도 모르겠지만 특히 첨가물 안 좋아하시는분들을 위해 정보 공유 하는겁니다 msg도 인체에 해가 있다고 결론 나지 않았다 하지만 굳이 msg 들어간걸 먹고싶지 않듯이요
  • 답글쓰기
다신
  • 뽀랴
  • 06.06 06:55
  • 여러 검색을 통해 알게 되신 정보이신가 보네요ㅎㅎ 저도 조금 알아봤는데요, 우선 아몬드 브리즈에 아몬드가 2% 들어있다는 점은 아몬드 브리즈 홍보영상에도 명시가 되어있어요ㅎㅎ 물론 조그맣게 적혀있지만 비공개로 하고 있다는 슈가제로님의 말씀은 틀렸구요. 아몬드 브리즈가 '우유나 두유처럼 아몬드 브리즈'라는 광고문구를 사용하고는 있으나 더 건강음료로 홍보한다는 느낌은 저는 못 받았어요ㅠ 각자가 지닌 장점이 다르기 때문에 무엇을 마실지는 소비자의 취향껏 고르면 되겠죠ㅎㅎ
    그리고 젤탄검이 아니라 젤란검인데, 이 젤란검은 정해진 허용섭취량이 없을 정도로 안전한 첨가물로 알려져 있구요. 다만 많이 섭취할 시 하제 효과(위 속의 내용물을 내보내는 효과)가 있다고는 합니다. 그리고 유화제의 경우에는 (카리기난이 아니라 카라기난 입니다만) JECFA(세계식품첨가물위원회, 정식명칭은 더 길어요^^;)에서 카라기난이 암을 유발한다는 미국 아이오와 대학의 연구논문은 틀린것으로 판명이 났답니다ㅎㅎ
    물론 제가 화학첨가물에 대해 옹호하는 주의는 아닙니다ㅠ 저 또한 화학첨가물은 최대한 피하고 싶어 하는 사람 중 하나지만, 현재는 식품첨가물이 들지 않은 가공식품은.. 거의 없다고 봐야겠죠ㅠ 유해하지 않다고 해서 건강한 건 아니겠지만, 유해하지 않으면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전..ㅎㅎ 또 화학공학 전공자로서 많은 분들의 '화학성분'하면 무조건 나쁘게만 보시는 시선은 거두어주셨음 하는 바람이 있네용ㅠㅠ
    하지만 슈가제로님 말씀처럼 가능하면 더욱 건강한 아몬드 브리즈가 되길 저도 바랍니다ㅎㅎ
  • 답글쓰기

댓글입력

댓글입력

공개글 등록

20180228 도움되는글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