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top

Q.정체기 너무 힘드네요..
작성자가 멘토님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1달넘게 제자리니까 다이어트할 마음도 없어져요..
  • o사랑스러워o
  • 다짐을 등록 하세요!

이전 다음글

게시글 목록

댓글타이틀

댓글 (1)

최신순등록순공감순

※ 상대에 대한 비방이나 욕설 등의 댓글은 피해주세요! 따뜻한 격려와 응원의 글을 남겨주세요~
- 댓글에 대한 신고가 접수될 경우, 내용에 따라 즉시 삭제될 수 있습니다.

댓글리스트

다신
  • 푸투룸스페스
  • 09.21 12:58
  • 우리 몸은 항상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항상성이 있으며,
    체중도 예외는 아니다.이를 세
    트 포인트(set point)라 하는데, 정체기는 곧 우리 몸의 세트 포
    인트를 낮추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줄어든 몸무게에 몸이 적응
    하고, 이를 자신의 체중으로 받아 들이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인 것
    이다.따라서 살이 잘 빠지다가 한
    번의 폭식으로 다시 체중이 원상
    복귀 되는 것은 아직 세트 포인트가
    낮춰져 있지 않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한번 정체기를 겪고 난 뒤에는 다소 과식을 하더라도
    체중이 쉽게 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리고 빼야할 살이 많을수록, 이 정체기는 여러 번 찾아오게 된다.
    체중 변화 그래프가 일정하게 떨어지는 사선이 아니라 계단식이 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사람마다 이 시기는 조금씩 다르
    게 나타난다.단 일주일 만에 끝나
    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한 달이 넘
    게 지속되어 다이어트 의지를 가뿐
    히 꺾어놓기도 한다. 그래서 힘든 운동과 식이요법을 다 견뎌낸 사람도 이 ‘정체기’만큼은 버티지못하고 백기를 드는 경우가 허다하다. )
    그렇다면 정체기를 극복하기 위해
    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1.이미 뺀 체중이 이전 체중의
    10~20%이상이라면 몸을 고
    열량에 적응시키기 위해 체
    중이 약간 늘어나는 것을 기
    약하고 두세달 후를 기약한다.
    만약 10~20%미만이라면
    운동량과 운동 강도를 늘려나
    가야 한다.( 너무 적게 먹지는
    않았는지?)

    2.휴식의 부족인지 체크하자.
    3.잠이 모자라면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가 높아져 배고픔을 느낀다.
    4.근육이 증가하는 시간일 수 있다.
    ( 같은 체중이더라도 근육이 더 높
    으면 슬림하게 보인다.)
    5.운동의 종류나 방법을 바꾸자.
    ( 난이도 점검, 무산소 운동 추가
    or운동시간 늘리기)
  • 답글쓰기

댓글입력

댓글입력

공개글 등록

20180228 도움되는글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