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top

칼럼
굽은 어깨를 펴면, 통증도 펴진다?
댓글 53 · 조회 14544 · 좋아요 36


보통 힘을 쓸 때 크게 두 가지 패턴으로 근육을 이용한다. 밀거나 당기거나.


그래서 밀 때 쓰는 근육과 당길 때 쓰는 근육이 있다. 건물로 들어올 때도 ‘미시오’, ‘당기시오’라고 말한다. 밀 때 당기거나 당길 때 밀면 절대로 들어오거나 나가지 못한다. 근육도 마찬가지다.


또 한 가지 패턴이 더 있다. 안거나 뿌리치거나.


여기서 질문 하나!‘우리 몸은 안는 근육이 더 셀까? 아니면 뿌리치는 근육이 더 셀까?’


답은 안는 근육이 더 세다. 마음도 그렇다. 안아주고 포용하는 것과 매몰차게 뿌리치는 것, 둘 중에 전자의 마음이 더 쉽지 않은가?


안는 근육의 무리를 살펴보면, 큰 근육 두 가지가 있다. 바다처럼 넓은 가슴근육과 광활한 등을 만들 때 필요한 광배근이다.


일상생활에서 가슴 근육(대흉근)은 사용용도가 다양하다. 운전을 할 때, 물건을 들 때, 글을 쓸 때 등 앞으로 무언가를 하는 행위에서는 거의 다 사용된다.


또 하나의 안는 근육은 등에 있는 광배근이다. 이 광자는 넓은 광(廣)자를 쓰고 있다. 엉덩이에서 시작해서 팔 안쪽에 붙는다. 팔에 붙어있다. 팔을 사용해야만 움직임이 가능하다.


이제 뿌리치는 근육들을 살펴보겠다. 이 근육들은 전부 몸 뒤에 붙어 있다. 한 번씩 들어 봤음직한 근육인 승모근이다.


승모근은 상. 중, 하로 나뉘는데 특히 중승모근이 뿌리치는 근육에 중추적 역할을 한다. 그리고 어깨뼈에 붙어있는 근육들이다. 대표적인 근육 이름은 후삼각근과 소원근이다.


중승모근과 후감각근, 그리고 소원근은 등쪽 몸통과 어깨뼈 안에서 옹기종기 모여 산다.


근육의 무리는 안는 근육과 비교했을 때 터무니없이 약하다. 약소국이다. 그래서 늘 큰 근육인 안는 근육에 의해 피해를 본다. 근육이 늘어나면서 약해지고, 심지어 굳기까지 한다.



뿌리치는 근육이 약해지면 일명 둥근 어깨를 만들어 몸통이 구운 오징어처럼 말려버린다.


뿌리치는 근육이 약해져 몸통이 구부러질 수도 있고 잘못된 자세의 패턴으로 몸통이 한 쪽으로 회전하며 굽을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거북목 자세’라든지 ‘척추 측만증’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중요한 건 안는 근육과 뿌리치는 근육의 상호 협력이 깨지면 어깨 주변에 통증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일명 둥근 어깨가 어깨 질환을 만들어낸다.


코리안 특급 투수 류현진 선수가 요즘 어깨 부상으로 메이저리그에서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고 있는데, 류현진의 어깨 부상의 근본적인 원인은 둥근 어깨였다.


어깨가 안으로 말려 있는 상태가 되면 팔과 어깨를 연결시켜주는 부위도 자기 자리에 있지 못하게 된다. 기계로 말하자면 베어링이 깨진 상태라 말할 수 있다.


자기 자리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빠른 공을 던지게 되면 어깨 주변의 근육들이 어긋난 상태에서 힘을 생산해 내기 때문에 주변 조직들을 건드리거나 물고 뜯겨져 나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어깨 주변의 통증을 총칭해서 부르는 말이 있다. 오십견이다. 오십견의 원인이 소통의 부재로 인한 것인데, 동의보감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통즉불통’으로 표현했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동의보감』은 말한다. 자연과 생명은 오직 ‘순환과 운동’이 있을 뿐이다. 통즉불통(通則不痛 ‘통하면 아프지 않다’/痛則不通 ‘아프면 통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어깨의 잘못된 움직임 패턴을 바로 잡는 고무적인 방법이 있다. 다 아시다시피 운동이다.


운동은 크게 몸통(흉추)의 움직임을 회복할 수 있는 운동을 실시하고, 어깨를 팔방으로 움직이게 하는 근육들을 강화하고, 마지막으로 어깨의 안정화 근육(회전근개)을 위한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을 통해 간략하게 소개하겠다.대표적인 운동을 그림으로 나타내보았다. 하지만 이 동작 외에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중요한 건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근육의 움직임 범위를 조절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반드시 늑골(흉추)의 움직임이 확보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늑골은 3개의 척추(경추, 흉추, 요추) 중에서 가장 움직임이 좋아야 할 부위이기 때문이다.


늑골이 잘 움직여야 요추가 일을 덜 하게 되고, 무엇보다도 늑골 뒤에 붙어 있는 어깨뼈의 움직임이 정상 궤도에 맞춰 원활히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은 소가 마시면 우유가 되고 뱀이 마시면 독이 된다’는 말이 있는데, 운동 또한 그렇다. 좋은 움직임은 근력을 만들지만 좋지 못한 움직임은 통증을 유발시킨다.


좋은 움직임은 안는 근육과 뿌리치는 근육의 밸런스를 잘 맞추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겠다.


※칼럼제공: 피트니스 큐레이터, 김성운

http://blog.naver.com/ksw3182



©다이어트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칼럼은 에디터의 개인적인 견해를 바탕으로 작성되며, 읽을거리와 정보 공유를 위해 연재됩니다. 건전한 댓글 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또는 비방/비하성 발언의 댓글은 안내없이 표시가 제한됩니다.
북마크

댓글타이틀

댓글 53

최신순등록순공감순

댓글리스트

  • 레드레인
  • 07.22 11:32
  • 비밀 댓글 입니다.
  • 퀸지
  • 07.03 13:12
  • 등을 꼭 펴야겟어요
  • 답글쓰기
  • aavv****
  • 06.16 00:22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답글쓰기
  • 신짱꾸
  • 06.01 14:13
  • 좋은정보!!
  • 답글쓰기
  • 태권예지
  • 05.31 18:54
  • 어깨도 다부져보이더라구요 아무래도 거기에 근육이 뭉치니꺼
  • 답글쓰기
  • 뭉나뭉나
  • 05.01 20:36
  • 어깨정말중요한것같아요!!
  • 답글쓰기
다신친구
  • 피트니스큐레이터
  • 05.01 11:24
  • 운동에 미친 불혹의 아저씨 안는 근육의 무리는 상체에서 국한 하자면, 대흉근과 광배근을 들 수 있습니다. 뿌리치는 근육은 후삼각근과 능형근 그리고 삼두근과 소원근이 대표적입니다.
    안는 근육과 뿌리치는 근육으로 분류한 것은 움직임의 패턴이 몸 중앙으로 말려들어가는 경우와 몸 밖으로 나가는 형태로 나눕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sw3182@hanmail.net 로 메일 주세요^^
  • 답글쓰기
  • 여뉴여뉴
  • 04.26 21:24
  • 와 이건 정말 좋은정보에요!
  • 답글쓰기
  • 페트로스JLee
  • 04.18 23:08
  • 안는 것과 뿌리치는 것에 대해
    잘모르겠네요
    체육전공인데
  • 답글쓰기
  • 미야케
  • 04.17 14:15
  • 신경써야겠어요
  • 답글쓰기
더보기

이전 다음글

게시글 목록

댓글입력

댓글입력

공개글 등록

오늘의 인기글

20180228 도움되는글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