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가 된 지금까지 작업을 하면서 스트레스 쌓이거나 작업이 잘 안되면, 습관적으로 달달한 디저트를 입으로 넣곤 했다.
왼손으로 과자와 빵을 집어 들고, 입 속으로 넣고는 얼마만큼 먹은 건지도 모른 채, 집중력이 떨어져 짜증과 피곤함을 느꼈다.
먹을 때는 잠시 행복하다가도 다시 밀려오는 스트레스에 원래 그런 건가 싶다가도 과자를 먹으면 또다시 기분이 좋아졌다.
그렇게 앉아서 먹어 치운 과자 1봉지, 2봉지와 초콜릿, 쿠키, 케이크 1조각은 소리 소문 없이 사라졌다.
“피곤한 뇌에는 달콤한 음식이 효과 있다?”
피곤할 때 초콜릿을 먹으면 어쩐지 머리가 맑아지는 듯한 기분이 들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일시적 현상에 불과하다.
초콜릿처럼 맛있는 것을 먹으면, 잠시 행복한 기분이 들면서 스트레스가 사라지는 듯한 기분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몸 속에서는 그 초콜릿 ‘한 조각’이 무서운 불씨가 된다.
당질에는 중독성이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또 달콤한 것이 생각난다.
단 것을 못 먹으면, 짜증이 나고, 침착함을 잃게 되거나 사소한 일에 예민해지는 등 스스로도 어쩔 수 없는 상태에 빠지기 쉽다.
그러다가 참지 못하고 또 단 것을 먹어 버리면, 순간에는 기분이 진정되지만 또 다시 짜증이 나고, 단것이 너무 먹고 싶어진다. 그렇게,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피곤하면 ‘초콜릿’이 생각나는 달콤한 함정에서 벗어나라.
'당을 끊는 식사법'
[이미지 출처: yumyum 작가, 브런치 ]
식사 후에 디저트 배는 따로 있다며, 한 조각만 먹어야지 하고 마음먹지만, 순식간에 사라진다.
잠시의 행복은 사라진 채, 다른 빵을 찾게 된다. 오랫동안 지속된 식습관을 한 순간에 바꾸는 건 어렵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난 하루 종일 몸이 축 늘어지고, 무기력해지는 날들이 점점 늘어났다.
업무에 시달린 후, 오후 3~4시가 되면 근처 빵집에 들러, 달콤한 빵을 사 들고 와 자리에 앉아 먹고, 서랍에는 달콤한 간식들이 항상 배치되어 있었다.
먹을 때는 기분이 좋다가도 누군가가 말만 걸어도 일하는 집중력이 떨어져 짜증나고, 기운없는 날도 많았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당에 중독되었던 것이다.
나이가 들어서 체력이 떨어져서 그런 건가 생각을 했었다.
슬프지만 현실인 걸 인정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20대 30대처럼 먹고도 좋은 체력을 유지하던 내 육체는 노력해야만 되는 나이로 변했다는 걸.
[이미지 출처: yumyum 작가, 브런치 ]
책을 읽는 순간 아찔했다. 내가 당에 중독되었는지도 모른 채, 입에 빵과 과자를 달고 살았구나.
당은 과일에만 들어있다고 생각했는데, 과일과 우유, 요거트 등은 천연식품에 든 ‘천연당’이고, 빵, 과자, 아이스크림은 첨가당이라고 한다.
둘의 당은 화학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지만, 식이섬유나 비타민, 무기질과 같은 영양소 함유 여부와 식후의 소화 흡수 속도에서 차이가 있다.
내가 그 동안 먹었던 음식들로 하여금 안 좋은지 알면서도 모른 척 먹었고, 서서히 체지방이 늘어났던 것처럼, 몸이 좋아지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빨리 변화되기를 바란다.
이제는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기분이 우울하다는 이유로 달콤한 유혹에 넘어가지 않기로 다짐해본다.
당장 끊는 건 힘들어서 대체 가능한 디저트로 바꾸고, 식습관을 바꾼 지금 이 전의 짜증과 분노가 조금씩 줄고 있다.
식단이 변하면 몸이 따라온다는 말이 거짓이 아니라는 걸 느꼈다.
※칼럼제공: 브런치 작가, yumyum
y u m y u m 다른 칼럼 보기